DDD Backend 1-2차 직군세션

DDD
6 min readJul 13, 2021

--

Backend 1주차 직군 세션에서 총 운영진 포함 여섯분이 지식 공유를 도와주셨습니다.

  • 13:35 / 조승준님 / 네트워크를 통한 겁나빠른 대용량 파일전송
  • 13:55 / 이유진님 / GraphQL 쓰게 된 이유 와 실무 경험담
  • 14:20 / 배인경님 / K대학생 개발자 회고록
  • 14:55 / 이재성님 / Golang으로 만드는 MySQL UDF
  • 16:00 / 김관현님 / Spring RestTemplate, Feign Client을 사용한 OPEN API를 사용해보자!
  • 16:35 / 정재봉님 / ECS환경에서 NAT 게이트웨이 사용해보기

네트워크를 통한 겁나빠른 대용량 파일전송 — 조승준님

첫 지식 공유를 도와주실 조승준님이 대용량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실제로 실무에서 구성을 했을때 경험담을 기반으로 각 하드웨어 관점으로 벤치마크 비교 및 스토리지 구성 방법에 따라 장단점을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 HDD, 가성비 좋은 보조기억 장치에 대한 이야기
  • 스토리지 구성 방법 3가지, DAS, NAS, SAN

GraphQL 쓰게 된 이유 와 실무 경험담 — 이유진님

유진님께서 GraphQL을 신입개발자로써 어떻게 접근하게 되었고 사용하면서 장단점을 경험담을 통해 이야기를 잘 풀어주셨습니다. GraphQL에 대해 잘알지 못했던 제입장에서 보면서 이론 및 코드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 까지 알려주셨습니다.

  • GraphQL 이란?
  • GraphQL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을까?
  • GraphQL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추천

K대학생 개발자 회고록 — 배인경님

잠시 스스로 쉬어가는 타이밍을 만들어주신 배인경님의 대학생 라이프, 개발자가 되어가는 과정의 길, 개발자 배인경님의 삶을 알려주셨습니다. 누구나 모두 가지고 있는 배움의 단계에 대해 다시 한번 알려주셨으며 과거의 신입 시절또는 학부시절을 떠올릴수 있게 만들어주신 자리 인거같습니다.

  • 배인경님의 자기자신을 표현하는 단어
  • 개발자로써 열심히 걸어가게된 계기
  • 대외 활동에 대한 후기?

Golang으로 만드는 MySQL UDF — 이재성님

사전의 준비를 덜하여 진행 및 마무리가 아쉬웠습니다. Cgo를 활용하여 MySQL의 User Defined Function(UDF)를 만드는 방법을 라이브코딩으로 설명했습니다.

  • cgo 사용법
  • mysql udf 문서 보는법

Spring RestTemplate, Feign Client을 사용한 OPEN API를 사용해보자! — 김관현님

기존의 Java에서 HttpClient를 사용한다고 하면 안드로이드가 아닌 환경에서는 URLConnection이 베스트라고 생각했으나 RestTemplate이 뭔지에 대해 알려주시고, Feign Client를 사용하여 더 나은 처리 방법을 실제로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 했는지에 대해 예시를 설명해주셨습니다.

  • URLConnection 이란?
  • RestTemplate, Feign Client 이란?
  • 실제 실무 사용 예

ECS환경에서 NAT 게이트웨이 사용해보기 — 정재봉님

실제로 ECS환경 구성을 라이브데모로 보여주시면서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해주셨고 또한 단순히 라이브 뿐만 아니라 NAT가 추가 된 상태에서의 가격 및 ECS 와 EC2의 가격 비교등을 실제로 경험을 기반으로 알려주셨습니다.

  • ECS 구성 방법
  • Fargate, EC2 가격 비교
  • 실제 사용 후기

Backend 2주차 직군 세션에서 총 운영진 포함 여섯분이 지식 공유를 도와주셨습니다.

  • 14:05 / 최정균님 / Spring Boot, Jenkins, CodeDeploy 로 CI/CD 하기
  • 14:35 / 김홍빈님 / ROR로 API 개발하고 AWS 배포하기
  • 15:15 / 김경준님 /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는법
  • 15:55 / 황성찬님 / gRPC로 API 문서화 탈출하기

Spring Boot, Jenkins, CodeDeploy 로 CI/CD 하기 — 최정균님

Jenkins와 CodeDeploy를 이용하여 배포 파이프라인을 간단하게
구성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 Jenkins 배포 파이프라인 구성 방법
  • CodeDeploy 배포 그룹 구성 방법

ROR로 API 개발하고 AWS 배포하기 — 김홍빈님

루비온 레일즈를 이용해서 간단한 CRUD API 만드는 방법을 라이브 코딩 및 같이 따라 할 수 있도록 준비 해주셨으며 AWS에 배포 하는 과정 까지 보여주셨습니다.

  • 루비온 레일즈의 정신
  • CRUD API 제네레이트
  • 엘라스틱 빈스톡 배포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는법 — 김경준님

개발자로써 성장하는 방법을 경준님의 삶을 통해 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회 였던거 같습니다. 특히 해당 상황에 던져져야 한다. 좋은 스승을 구해라 라는 경험을 통한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 환경 조성법
  • 도제
  • 실전과 훈련을 분리
  • 소프트웨어 카타

gRPC로 API 문서화 탈출하기 — 황성찬님

Armeria를 이용하여 gRPC 통신 및 문서 최신화 등에 대한 유지보수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및 실무 경험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 gRPC란?
  • 왜 Armeria?
  • 라이브 코딩

--

--

DDD
DDD

Written by DDD

Dynamic Developer Designer |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함께하는 IT 동아리

No responses yet